본문 바로가기

리니지 M

리니지M 아이템 시세 사이트 (전 서버 시세 확인)

리니지M의 3주년이 다가오고 있습니다.

분명 처음부터 1:1 거래 기능을 넣겠다고 했는데 3주년이 지날 때까지 어떻게 하겠다는 말도 없이 그냥 버티는 것이 참 NC 스럽습니다...

각 서버마다 5%에 달하는 거래소 수수료를 물건을 사고 팔 때마다 지불해야 하는 것이 서버의 경제 유지를 위해서 의도적으로 필요해서인지.. 

모 유저가 재기했던 의혹처럼 정말 다이아가 증발하는 것은 아닌지 궁금하기도 합니다. 




린엠이 3주년이 되가면서 각 아이템들의 시세도 어느 정도 잡힌 면이 있습니다. 물론 고가템의 경우 시세가 천차만별인 경우들도 있지만, 서버 이전이 가능해지면서 그것도 점차 차이가 생기고 있습니다. 


초고가템인 격노급 신화 무기들의 경우는 아예 전섭에 몇 자루 정도 있는지 웬만한 유저들은 누가 들고 있는지까지 알고 있어서 매물이 나오면 순식간에 구매자 큰 손들이 나타나는 실정입니다. 


하지만 전설템이나 이제는 중과금 유저들도 상당수 보유하고 있는 영웅템급의 아이템들은 어느 정도 시세들이 정해지고 있고, 여차하면 보따리상으로 다른 섭으로 넘어가서 물건을 사오는 경우들도 적지 않습니다. 하지만 실질적으로 각섭을 하나씩 들어가서 거래소 시세를 확인할 수는 없는 노릇입니다.


최근에 한 유저분이 개발한 것으로 보이는 사이트에서 실시간으로 (거의) 전서버에 있는 템들의 시세들을 확인할 수 있는 사이트가 있습니다. 이 사이트에서 본인의 템이 구섭이나 신섭에서 각각 얼마정도에 거래소에 올라가 있는지 확인이 가능합니다 상당히 유용한 사이트기 때문에 소개드리겠습니다.






MGX라는 사이트인데요. Mobile Game Exchange의 약자인 것 같네요. 현재는 린엠과 린엠2의 아이템 거래소와 각 서버 세금 등만 확인이 가능합니다. 저는 린엠2에는 관심이 없으므로 좌측 린엠 그림을 클릭합니다.


사실 사용하기에 전혀 어렵지 않은 인터페이스입니다. 실시간 검색 순위에 악마왕의 한손검이 보이네요. 몇 차례만 검색하면 금새 순위에 올라갈 수 있을 것 같은 느낌도 듭니다. 밑에 각 서버들의 세금 규모들이 보입니다.





뭔가 궁금해서 눌러봤는데요... 뭔지 정확하게는 모르겠네요.. 아마도 전체 경매소에 올라가있는 물품들의 다이아 양과 등록비가 아닌가 싶네요..




커뮤니티는 현재 사용되지 않는 것 같습니다.



실시간 검색 순위가 10개 정도가 있네요. 

제가 자주 찾아보던 헬바인의 비수와 뱀망이 보이네요.



검색조건은 서버, 속성, 속성 강화, 강화, 축복 부여 여부를 선택할 수 있습니다만 일반적으로 찾는 템들을 굳이 다 설정할 필요는 없어보입니다.



예를 들어 뱀파이어의 망토를 검색해보면 



각 서버별로 가격별로 정렬이 되서 나오게 됩니다.

케레니스 3섭에 2만에 판매되고 있는 노축 0강 뱀망부터

아래로 내려가면 7 축복받은 뱀파이어 망토까지 가격별로 정렬이 됩니다.




마법 방어 투구 같이 물량이 많은 템의 경우에는

검색 조건 설정을 해주는 것이 좋습니다. 

(강화 수치만 설정해주면 충분할 것 같습니다.)



구섭에서는 노강 마투도 10다야군요.

신섭은 그래도 20다야 이상인데 

아무래도 일반템은 구섭과 신섭의 

시세가 차이가 나기 시작하네요.



다른 것보다 강화수치만 선택하면 되는데요

검색은 원하는 강화수치들만 모두 선택하시면 됩니다.

예를 들어 7~9강을 검색하고 싶으면

3가지를 모두 체크하고 검색하시면 됩니다.

각 서버별로 가격대별로 정렬된 것을 검색할 수 있습니다.



mgx 사이트는 사이트에 명시된 것 같이

완전 실시간 사이트는 아니므로 실제 매물이 있는지

최종 확인이 필요하기는 합니다만, 실제로 각 서버의 시세와

구매하고 싶은 물건이 있는 서버 등을 찾아보는데 

매우매우 유용하게 사용 가능한 것으로 보이네요.




http://mgx.kr/